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땀띠 치료법, 간단하지만 효과있게!

halmi-rn20 2025. 7. 11. 09:00

목차



    반응형

    여름철, 냉방이 돼도 계속 움직이는 병동 근무 중에 가장 자주 듣는 말이 바로
    "땀띠 났어요…"입니다.

    아이들만 생기는 줄 알았던 땀띠,
    사실은 성인도 꽤 자주 겪는 피부 트러블입니다.
    특히 땀이 많은 의료인, 요양보호사, 병동 보조 인력,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하는 직업군에서 흔히 볼 수 있죠.

    오늘은 할미쌤이 병원에서도 자주 쓰는
    실제 땀띠 치료 및 관리법을 알려드릴게요.

     

    땀띠 부위에 연고 바르는 포스터

    땀띠란 무엇인가요?

    땀띠는 의학적으로 ‘한진(汗疹)’이라고 부르며,
    땀구멍이 막히거나 땀이 피부 속에 고여 염증 반응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목, 겨드랑이, 가슴 밑, 마스크 착용 부위, 허벅지 안쪽 등
    피부 접촉이 많고 통풍이 안 되는 부위에 잘 생깁니다.

    작게는 모기 물린 듯한 붉은 반점에서부터,
    심하면 물집이나 고름, 진물까지 동반되기도 합니다.
    가렵고 따갑고, 심하면 진짜 일상생활이 불편할 정도죠.

    땀띠 치료법,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가장 먼저, ‘건조’!

    땀띠는 습하고 덥고 자극이 많은 환경에서 생깁니다.
    그러니 치료의 첫 단계는 바로 ‘건조’입니다.

    • 가능하면 시원한 환경에서 지내기
    • 땀 닦기보단 눌러서 톡톡 두드리기
    • 통풍 잘 되는 면 소재 옷 입기

    특히 땀이 많이 나는 부위는 뽀송하게 유지하는 게 핵심입니다.
    요즘은 병원에서도 간호사들이 파우더 티슈나 쿨타월을 개인 소지품으로 챙기더라고요.

    피부 진정, 약보다 먼저 할 일

    약을 바르기 전에 먼저 해줄 건,
    피부를 쉬게 해주는 것입니다.

    •  미지근한 물로 가볍게 씻고
    •  자극 없는 수딩젤, 알로에겔로 진정
    •  가능한 노메이크업, 노선크림 (피부 숨 좀 쉬자고요…)

    약이 필요한 경우는 언제?

    가려움이 심하거나 염증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국소용 스테로이드 연고나 항히스타민제도 도움이 됩니다.

    ✔️  단, 연고를 너무 오래 사용하면 피부가 얇아지고 색소침착이 생길 수 있으니
    의사 상담 후 단기간만 사용하는 게 원칙입니다.

    ✔️  물집, 진물이 심하면 세균 감염도 고려해야 하므로
    항생제 연고나 피부과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방이 반이다

    한 번 생긴 땀띠는 잘 낫지 않으니 애초에 안 생기게 하는 게 제일 좋습니다.

    •  땀이 많이 나는 날엔 2회 이상 샤워
    •  병동에서 마스크 오래 썼다면 교대시간 틈틈이 갈아주기
    •  근무 중간중간 시원한 수건이나 쿨패치로 피부 열 내려주기

    그리고 병원 복장은 기능성보단 통풍성과 흡습성이 우선이에요.
    요즘은 쿨링 이너웨어도 많이 나와 있으니 하나쯤 챙겨두셔도 좋아요.

    마무리하며…

    땀띠는 겪어보면 사소하지 않은 피부 질환입니다.
    특히 여름철 병동근무자나 움직임이 많은 직종에서는
    그저 가려운 걸 넘어서 업무 집중력까지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기도 하죠.

    할미쌤도 한여름 병동에서 속옷까지 땀에 젖어가며 일하던 시절,
    땀띠에 짜증 나고 지쳐서
    파우더를 챙겨 다니며 몰래몰래 턱에 톡톡 두드리던 기억이 납니다.

    이 글이 지금 땀띠로 고생 중인 누군가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모두 시원한 여름 보내시길 바랄게요! 🌿

    반응형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