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건강 상식

모기기피제, 매일 뿌려도 괜찮을까? 화학성분 노출 주의

halmi-rn20 2025. 7. 26. 13:36

목차



    반응형

    여름만 되면 모기와의 전쟁이 시작되죠.
    병원에서도 모기 한 마리 들어오면 환자분들이 잠을 못 주무시고 민원이 폭탄처럼 쏟아집니다.
    그럴 때마다 손이 먼저 가는 게 바로 모기기피제인데요.

    하지만 하루에도 몇 번씩 계속 뿌리다 보면 문득 이런 생각이 들어요.
    “이거 매일 써도 괜찮을까? 몸에 안 좋은 건 아닐까?”
    오늘은 모기기피제의 화학성분과 과다 노출 시 위험, 그리고 안전하게 쓰는 방법까지 짚어볼게요.

     

    엄마가 모기기피제를 망설이며 들고 있는 모습

    모기기피제 속 화학성분, 어떻게 작용할까?

    대부분의 모기기피제에는 디에틸톨루아미드(DEET)나 이카리딘(Icaridin) 같은 성분이 들어있어요.
    이 성분들은 모기가 사람의 체취나 이산화탄소를 감지하지 못하게 만들어서 접근을 막죠.

    • DEET : 가장 오래된 기피 성분, 효과는 강력하지만 피부 흡수 가능성↑
    • 이카리딘 : DEET보다 자극은 덜하지만 여전히 화학성분이므로 남용은 금물

    즉, 필요할 때만 적절히 쓰면 안전하지만, 남용은 위험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과다 노출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 피부 자극과 알레르기 : 하루 여러 번 반복 사용하면 피부 건조·발진 유발
    • 점막 자극 : 눈이나 입에 닿으면 따갑거나 화끈거림
    • 신경계 흡수 위험 : 어린아이·노약자는 장기간 노출 시 드물게 신경계 자극 보고 사례

    병원 현장에서도 아이들 피부가 빨갛게 일어나서 오셨는데, 알고 보니 모기기피제를 하루 5~6번씩 뿌린 경우가 많았습니다.

    모기기피제, 이렇게 써보세요

    1. 외출 전·후 꼭 씻어내기 → 야외활동 후엔 반드시 씻어내세요.
    2. 옷 위에 뿌리기 → 피부보다는 옷이나 주변 환경에 뿌리는 게 더 안전합니다.
    3. 필요할 때만, 최소한으로 → 습관처럼 매일 쓰지 말고 모기 많은 시간대만 사용
    4. 어린이·노약자는 저농도 제품 → DEET 농도 10% 이하 제품이 더 안전
    5. 대체 방법 활용하기 → 모기장, 선풍기, 환기 같은 물리적 차단도 효과적

    할미쌤 한마디

    모기기피제는 적절히 사용하면 여름철 필수품이지만,
    습관처럼 매일 뿌리면 화학성분에 과다 노출될 수 있습니다.

    ✔ 필요한 순간에만 최소한으로 사용
    ✔ 사용 후엔 꼭 씻어내고, 아이·민감 피부엔 저농도 제품 선택

    모기를 피하려다 피부와 건강이 더 고생할 필요는 없잖아요? 😉
    안전하게 쓰면서 모기와의 여름 전쟁, 현명하게 이겨봅시다!

     

    반응형

    '건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태스킹, 뇌가 가장 싫어하는 습관  (0) 2025.07.29
    물병 재사용, 세균 번식 주의! 건강 지키는 위생관리법  (0) 2025.07.28
    여름철 운동화, 세균이 파티 중?! 발냄새·무좀 예방 꿀팁  (0) 2025.07.25
    장마철 주의! 렙토스피라증·유행성출혈열 증상과 예방법  (0) 2025.07.24
    여름철 집안 곰팡이, 습도 관리 못 하면 건강까지 해친다  (0) 2025.07.2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