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할미쌤의 뇌과학 노트

‘게으름’의 과학적 증거: 몸무게 2% 뇌가 에너지 20%를 쓰는 비밀

halmi-rn20 2025. 10. 25. 08:00

목차



    반응형

    우리 몸에서 겨우 2%밖에 차지하지 않는 뇌가 하루 에너지의 20%나 쓴다고 하면 놀랍지 않으신가요?


    사실 뇌의 ‘게으름’은 단순한 나쁜 버릇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 발전시켜 온 생존 전략에 가깝습니다.


    오늘은 이 ‘게으름 본능’이 어떻게 우리의 습관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어떻게 현명하게 이용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책상 앞에서 해야 할 일을 망설이는 사람과 자동 조종 아이콘

    우리 뇌가 ‘게으름’을 택하는 진짜 이유

     

    가끔 이런 순간 있지 않나요? 해야 할 일은 분명 아는데, 몸이 이상하게 안 따라줄 때요.


    저도 하루 종일 교육자료를 만들어야 하는 날이면 괜히 책상 정리부터 시작하곤 합니다.

    ‘이게 정말 필요한 준비일까, 그냥 미루는 걸까?’ 스스로 웃음이 나올 때도 있죠.

     

    하지만 뇌 과학적으로 보면, 이런 게으름은 개인의 잘못이 아닙니다.
    뇌는 몸무게의 2%밖에 안 되지만, 하루 에너지의 20%를 혼자 써버리는 효율성 제로(?) 기관이에요.


    그래서 뇌는 조금이라도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늘 ‘편한 길’을 찾습니다.


    새로운 일을 피하고 익숙한 루틴으로 돌아가려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결국 게으름은 ‘에너지 절약을 위한 뇌의 생존 전략’이라 할 수 있죠.

     

    배터리 게이지가 표시된 뇌가 에너지 절약 모드로 전환되는 장면

    자동 조종 모드의 함정: 아껴 얻은 에너지, 잃어버린 습관

     

    뇌의 자동 조종 모드는 사실 꽤 유용합니다. 운전, 요리, 청소 같은 일상적인 일들을 반복해도 큰 피로가 없는 건 바로 이 기능 덕분이에요.


    그런데 문제는, 이 ‘편리한 시스템’이 비효율적인 습관까지 고집한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 밤마다 야식을 찾게 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뇌는 야식을 “가장 적은 에너지로 즉각적인 만족을 얻는 방법”으로 기억해 버리죠.


    그래서 다이어트를 결심해도 “이게 제일 쉬운 길이야”라는 신호를 보내며, 무의식적으로 손이 가게 만듭니다.


    결국 낡은 습관을 바꾸지 못하는 건, 의지 부족이 아니라 뇌의 에너지 절약 본능 때문입니다.

     

    ‘생각 절약형’ 뇌, 오히려 내 편으로 만들기

     

    그렇다면 이 ‘게으른 뇌’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억지로 바꾸려 하기보다, 뇌가 부담을 느끼지 않게 ‘작게 시작하는 습관’을 만드는 게 핵심입니다.

     

    • 시작 장벽 낮추기 – 운동을 결심했다면 “2시간 헬스장 가기” 대신 “운동복 입기”부터 시작하세요.
      뇌는 이 정도는 힘 안 드는 일로 받아들입니다.
    • 습관 붙여 넣기 – 이미 매일 하는 행동 뒤에 새로운 습관을 살짝 이어 붙이세요. 예: “커피 마신 뒤 바로 영어 단어 앱 켜기”.
    • 결정 피로 줄이기 – 매일 반복되는 사소한 결정(입을 옷, 먹을 메뉴 등)을 줄이면 뇌의 에너지를 아낄 수 있습니다.

    어떤가요? 생각보다 간단하죠? 이건 ‘의지력 싸움’이 아니라, 뇌의 성향을 이해하고 이용하는 작은 협상입니다.

     

    커피를 마시며 스마트폰 공부 앱을 여는 손 클로즈업

    뇌와의 협상, 작은 변화가 큰 차이를 만든다

     

    우리 뇌는 의외로 단순합니다. 새로운 규칙은 싫어하지만, “이게 더 편하네”라고 느끼는 순간 바로 받아들이거든요.


    그래서 삶이 변하는 데는 거창한 결심보다, 가볍게 시도할 수 있는 한 걸음이 훨씬 중요합니다.

     

    창가에서 노트북으로 일하며 미소 짓는 사람

     

    오늘은 잠깐, 나의 ‘게으름’을 탓하기보다 이렇게 물어보면 어떨까요?
    “혹시 내 뇌가 지금 에너지를 아끼려는 중은 아닐까?”


    그렇게 질문을 던지는 순간, 이미 변화를 시작한 거예요.

     

    여러분의 뇌가 조금 더 현명하게, 조금 더 여유롭게 움직이길 바라며—


    오늘의 할미쌤 뇌과학 노트가 일상 속 게으름을 이해하는 데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할미쌤의 뇌과학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능보다 강하다" 지겨워도 '반복'하는 사람이 결국 이기는 과학적 이유  (0) 2025.10.29
    김익한 교수 강력 추천! 뇌과학자가 밝힌 ‘기억력 2배’ 메모의 기술  (0) 2025.10.27
    “말버릇 하나 바꿨을 뿐인데…” 뇌까지 달라지는 언어 습관의 마법  (0) 2025.10.21
    "보는 대로 배운다?" 뇌 과학이 증명한 2배 빠른 학습의 비밀, '모델링'의 힘  (0) 2025.10.16
    "나도 모르게 따라 하는 이유" 공감 능력 100% 만드는 '거울뉴런' 활용법  (0) 2025.10.13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