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녕하세요, 할미쌤이에요 😊
오늘은 간호기록에 대한 진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간호사라면 하루의 대부분을 기록과 함께 보내죠.
바쁘고 피곤해도 기록을 빼놓을 수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단순히 ‘무엇을 했다’는 메모가 아니라,
환자의 상태를 증명하고 의료진을 보호하는 법적 문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답은 간단합니다.
불완전한 기록은 곧 ‘기준 미달 간호’의 증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의료분쟁이 발생하면 환자보다 의료진이 입증 책임을 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간호기록입니다.
특히 환자 권리가 강조되는 요즘은 환자 상태가 악화되면 바로 “소송”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곤 하죠.
제가 직접 겪었던 일입니다.
비급여 영양제 동의서를 받고 서명까지 스캔해 두었는데,
환자분은 경찰 조사에서 이렇게 진술했어요.
“그런 동의 한 적 없어요.”
“이건 거짓 기록입니다.”
다행히도,
✔ 간호기록에 해당 내역이 명확히 남아 있었고
✔ 병원장님이 책임져 주셨으며
✔ 환자분은 최종적으로 패소하셨습니다.
억울한 상황이었지만,
“간호기록이 우리를 지켜줬다.”는 깨달음이 남았습니다.
다만 기록이 법적 논쟁에 오르면 아무리 잘 작성했더라도 마음이 편치만은 않더군요.
간호기록은 단순 메모가 아니라 법적 문서입니다.
✔ 아무리 짧아도 반드시 기-승-전 구조를 갖춰야 합니다.
- 기: 환자 상태나 상황
- 승: 간호사가 취한 조치
- 전: 환자의 반응 또는 결과
✔ 핵심은 간결하고 명확하게.
👉 그것이 바로 “좋은 간호기록”의 출발점입니다.
간호기록은
내가 오늘 한 간호의 흔적이고,
누군가가 대신 내 업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증거이며,
무엇보다 한 생명을 지켜낸 기록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도 기록 하나에도 진심을 담아 간호하는 선생님들, 정말 멋지십니다.
할미쌤이 늘 응원합니다 💙
간호기록 ②: 루틴 간호 기록에서 실제 기록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일상적인 루틴 기록 속에서도 반드시 지켜야 할 포인트를 짚어드릴게요.
소아청소년과 간호사의 현실과 생존 전략 (0) | 2025.05.08 |
---|---|
신규 간호사 현실 가이드북 (0) | 2025.05.06 |
간호기록 ④ – 검사 처방 시 실전 기록 예시 (0) | 2025.05.02 |
간호 기록 ③: 의사 회진 후 간호 기록, 이렇게 정리해보세요! (0) | 2025.05.02 |
간호 기록 ②: 루틴 간호 기록, 이렇게 작성해 보세요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