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병원 현실 이야기

병원 신입, 눈치 빠른 사람이 오래 간다

halmi-rn20 2025. 5. 24. 18:00

목차



    반응형

    간호사의 눈으로 병원을 바라본 지 20년이 훌쩍 넘어 버렸네요.
    이제는 간호사를 넘어, 병원 안의 모든 사람 이야기를 써보려 합니다.

    처음 블로그를 시작했을 때는 간호사의 현실과 생존 전략만을 나누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병동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다 보면, 한 명의 간호사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일들이 참 많습니다.
    환자, 보호자를 비롯해서 간호사, 간호조무사, 간호조무원, 행정직원, 그리고 의사 선생님까지..
    병원은 많은 직종이 함께 움직이는 작은 사회입니다.

    이제부터는, 그 모두의 이야기까지 조금씩 풀어보려 합니다.


    병원에서 ‘눈치’란, 살아남는 기술입니다

    병동 신입 시절, 가장 먼저 배운 건 ‘눈치’였습니다.
    누가 바쁜지, 누가 예민한지, 지금 내 행동이 흐름을 끊지는 않는지.
    기본 업무는 익히면 되지만,
    “언제 어떻게 움직이느냐”는 병동 생존의 핵심이었습니다.

    눈치 빠른 신입은
    ✔️ 선배에게 질문할 타이밍을 알고
    ✔️ 보호자와 의사 사이에서 말조심을 하고
    ✔️ 무언의 분위기를 읽으며 자연스럽게 녹아듭니다.

    이건 실무 매뉴얼에 쓰이지 않는 기술입니다.
    그래서 더 중요한 ‘병원 내 생존력’이기도 하죠.


    병원 신입이 오래 버틸 수 있는 건, 실력이 아니라 감각입니다

    한때 저희 병동에 아주 똑똑한 신입 간호사가 입사한 적이 있었는데,
    업무 자체를 빠르게 습득했고, IV 스킬도 괜찮았지만
    눈치를 보는 감각은 조금 부족했어요.

    “음.. 그 말, 지금 하면 안 되는 말인데...”
    “그 행동, 여기선 좀 위험한데...”

    그렇게 몇 번의 충돌 끝에 결국 3개월도 못 채우고 병동을 떠났습니다.

    반면, 업무는 조금 느려도 분위기를 잘 파악하는 친구는
    칭찬도 많이 받고, 환자와도 금세 친해지고,
    선배들 사이에서도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습니다.

    병원은 지식습득이나 기술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먼저 사람 사이의 흐름을 아는 감각이 필요합니다.


    할미쌤의 생존 백서, 이제 병원 전체를 기록합니다

    앞으로 이 블로그는 간호사 이야기뿐 아니라
    간호조무사, 병동 조무원, 행정직원까지
    병원에 있는 모든 분들의 현실과 고민을 함께 나누는 공간이 될 예정입니다.

    ✔️ 간호사, 간호조무사, 간호조무원 입장에서 느끼는 한계와 위로
    ✔️ 병원 중간관리자의 진짜 고충
    ✔️ 환자, 보호자와의 갈등, 그리고 감동
    ✔️ 병동 실무 꿀팁과 기록 노하우
    ✔️ 그리고, 웃기고 찡한 병동의 하루들까지

    병원 안의 수많은 ‘직업의 말들’을 들려드릴게요.
    할미쌤은 이제, 병원 전체의 기록자입니다.


     

    반응형

    '병원 현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원 행정직, 정말 '꿀보직'일까요? 현실은 최저시급과 씨름하는 원무팀·총무팀  (0) 2025.05.26
    간호조무사, 병원급과 의원급 업무 차이  (0) 2025.05.25
    간호사로서 느끼는 진짜 보람  (0) 2025.05.22
    간호사 브이로그가 인기 있는 이유  (0) 2025.05.21
    간호사 중간관리자의 역할과 고민  (0) 2025.05.19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