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호조무사라고 하면 “간호사는 아니고… 뭘 하는 거지?” 하고 궁금해하시는 분들 많죠?
사실 간호조무사는 1년간 이론+실습 교육을 받고 국가시험을 통과해야 하는 의료보조 전문 인력입니다.
‘조무’라는 이름처럼 간호사를 보조하는 역할이지만, 의료현장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숨은 살림꾼이죠.
문제는! 어디서 일하느냐에 따라 업무 강도와 스타일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겁니다.
특히 의원급(동네병원)과 병원급(종합병원·요양병원)은 요구되는 능력과 팀 구조부터가 다릅니다.
오늘은 할미쌤이 현장에서 본 진짜 차이를 알려드릴게요.
의원급은 내과, 소아과, 정형외과, 피부과, 치과 같은 동네병원이죠.
의료 인력이 많지 않다 보니 간호조무사 1명이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원급 간호조무사가 하는 일
✅ 진료보조 – 주사 준비, 소독, 기구 전달 등 의사 바로 옆에서 지원
✅ 접수·수납 – 원무과 직원 역할까지 겸업
✅ 환자 안내·백신 관리·약품 정리 – 한 사람이 여러 업무를 동시에 담당
✅ 활력징후 측정 – 혈압, 맥박, 체온, 호흡 체크
✅ 환경관리 – 대기실 정리, 소독, 청결 유지
👉 쉽게 말해 “작은 병원은 모든 게 내 몫”인 셈이죠.
대신 환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니, 의사와 간단히 소통하며 일하는 구조입니다.
병원급은 종합병원, 대학병원, 요양병원, 재활병원처럼 큰 조직입니다.
여긴 “내 일만 잘하면 되는 구조”라서 의원급과는 느낌이 완전히 달라요.
병원급 간호조무사가 하는 일
✅ 병동 정리·청결 유지 – 침상 정리, 린넨 교체
✅ 기초 간호 보조 – 체위 변경, 이동 보조, 식사·배설 보조
✅ 환자 이송 – 검사실·수술실·촬영실 등 이동 지원
✅ 물품 관리 – 소모품, 의료물품 정리·배치
✅ 간호사 보조 – 활력징후(혈압·맥박·호흡·체온) 체크
✅ 서류·전달 업무 – 검사 의뢰서, 인계서 등 문서 지원
👉 “간호사와 팀으로 움직이는 구조”라서, 혼자 판단하기보단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일이 많습니다.
🔹 의원급은 멀티플레이어가 되어야 합니다.
진료보조+원무행정+환경관리까지 한 손에 다 해야 하죠.
🔹 병원급은 팀워크와 체계가 중요합니다.
업무는 상대적으로 단순하지만, 협업과 보고 체계가 더 복잡합니다.
즉, 의원급은 “일이 다양하고 유연함”이 장점이고,
병원급은 “업무가 분담돼 있고 체계적”인 대신 조직 규율이 더 강하죠.
같은 간호조무사라도 어디서 일하느냐에 따라 하루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의원급은 멀티태스킹과 순발력, 병원급은 팀워크와 적응력이 핵심이에요.
앞으로 간호조무사로 취업이나 이직을 고민하신다면, 내게 잘 맞는 스타일이 뭔지 먼저 생각해보세요.
작은 병원의 자유로움이 맞는지, 큰 병원의 체계가 맞는지에 따라 일의 만족도가 달라집니다.
이상, 현장에서 보고 느낀 할미쌤의 한마디였습니다! 😉
병원 내 갑질,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0) | 2025.05.27 |
---|---|
병원 행정직의 현실: 원무팀과 총무팀의 숨겨진 업무 (0) | 2025.05.26 |
병원 신입, 눈치 빠른 사람이 오래 간다 (0) | 2025.05.24 |
간호사로서 느끼는 진짜 보람 (0) | 2025.05.22 |
간호사 중간관리자의 역할과 고민 (0)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