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랜 세월 병원에서 희로애락을 함께해 온 할미쌤입니다. 오늘은 종종 ‘꿀보직’으로 여겨지는 병원 행정직의 숨은 속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겉보기엔 안정적이고 편해 보일 수 있지만, 그 뒤에는 업무량에 비해 한없이 낮은 급여라는 현실적인 고민이 있습니다. 특히 환자를 가장 먼저 만나는 원무팀, 그리고 병원살림을 책임지는 총무팀의 진짜 현실은 어떨까요? 그 속사정을 하나씩 들려드릴게요. '꿀보직'이라 오해받는 병원 행정직의 진짜 모습 많은 분들이 병원 행정직이라고 하면 멋진 정장 유니폼 입고 조용히 서류만 들여다보는 모습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와 거리가 멉니다. 환자와 의료진 사이에서 끊임없이 중재하고, 예기치 못한 문제에도 바로 대응해야 하죠. 때로는 감정노동까지 감수해야 하..
간호조무사라고 하면 “간호사는 아니고… 뭘 하는 거지?” 하고 궁금해하시는 분들 많죠?사실 간호조무사는 1년간 이론+실습 교육을 받고 국가시험을 통과해야 하는 의료보조 전문 인력입니다.‘조무’라는 이름처럼 간호사를 보조하는 역할이지만, 의료현장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숨은 살림꾼이죠.문제는! 어디서 일하느냐에 따라 업무 강도와 스타일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겁니다.특히 의원급(동네병원)과 병원급(종합병원·요양병원)은 요구되는 능력과 팀 구조부터가 다릅니다.오늘은 할미쌤이 현장에서 본 진짜 차이를 알려드릴게요. 의원급: 한 사람이 여러 역할, 멀티태스킹 필수 의원급은 내과, 소아과, 정형외과, 피부과, 치과 같은 동네병원이죠.의료 인력이 많지 않다 보니 간호조무사 1명이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해야 하는 경우..
간호사의 눈으로 병원을 바라본 지 20년이 훌쩍 넘어 버렸네요.이제는 간호사를 넘어, 병원 안의 모든 사람 이야기를 써보려 합니다.처음 블로그를 시작했을 때는 간호사의 현실과 생존 전략만을 나누고 싶었습니다.하지만 병동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다 보면, 한 명의 간호사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일들이 참 많습니다.환자, 보호자를 비롯해서 간호사, 간호조무사, 간호조무원, 행정직원, 그리고 의사 선생님까지..병원은 많은 직종이 함께 움직이는 작은 사회입니다.이제부터는, 그 모두의 이야기까지 조금씩 풀어보려 합니다.병원에서 ‘눈치’란, 살아남는 기술입니다병동 신입 시절, 가장 먼저 배운 건 ‘눈치’였습니다.누가 바쁜지, 누가 예민한지, 지금 내 행동이 흐름을 끊지는 않는지.기본 업무는 익히면 되지만,“언제 어떻게 ..
간호사는 늘 누군가의 하루 곁에 서 있습니다.병실 문을 열고 들어오는 환자의 긴장을 받아내고,치료와 회복 사이에서 반복되는 하루를 보냅니다.가끔은 보고서와 투약 걱정에 허덕이고,침대 정리만 수십 번 하다 하루가 끝나기도 하죠.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날 또다시 복도를 걷습니다.왜냐고요? 버틸 만한 이유가 있으니까요. 회복을 지켜보는 특권 인공호흡기에 의지하던 환자가며칠 뒤 눈을 뜨고 이름을 부를 때.반응 없던 손이 살짝 움직여간호사의 손을 잡아줄 때.그 순간, 아무 말 못 하고 그냥 멈춰 섭니다.기적 같은 회복을 가장 가까이서 지켜볼 수 있는 건간호사의 특권이자… 가장 큰 보람이니까요.말 한마디가 주는 힘 “오늘도 감사합니다.”이 짧은 한마디가 간호사에겐 하루치의 연료가 됩니다.커피 한 잔, 메모지에 적..
요즘 유튜브나 SNS를 보면 ‘간호사 브이로그’가 하나의 콘텐츠 장르로 자리 잡았습니다.병동의 아침 풍경, 짧은 점심시간, 야간 근무 후 지친 모습까지.겉보기엔 평범한 하루지만, 이 기록들이 수많은 사람의 공감을 얻으며 빠르게 퍼지고 있죠.간호사라는 직업은 익숙하면서도 내부는 쉽게 드러나지 않습니다.그래서 브이로그를 통해 보여주는 ‘간호사의 진짜 일상’이 더 궁금해지고,그 안에서 위로와 연결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납니다. 간호사의 하루가 콘텐츠가 되는 이유 간호사라는 직업은 전문성과 감정노동, 공공성과 긴장감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교대근무, 응급상황, 환자와의 감정 교류 같은 장면들은 일반인에게 생소하면서도 몰입감을 주죠.브이로그는 이런 모습을 자연스럽게 담아내면서 단순한 직업 소개를 넘어 하나의 이야..
간호학과에 입학한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이 길은 단순한 전공 선택이 아니라, 사람을 돌보고 생명을 지키는 전문 직업인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재 의료 환경은 녹록지 않습니다. 의사 파업과 의료 인력 구조 전환의 여파로 일부 대학병원에서 신규 간호사 채용을 줄이는 등 많은 변화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같은 현실 속에서 불안함을 느끼는 신입생도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간호 인력 수요의 변동은 일시적인 제도 변화나 환경 변화에 따른 흐름일 수 있으며, 중장기적으로는 다시 수요가 회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간호 인력의 필요성은 여전히 높기 때문에,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기초를 튼튼히 쌓는 것’입니다. 간호학과의 4년은 짧고, 이후의 진로를 결정짓는 준비 단계로서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부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