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할미쌤이에요 😊오늘은 간호기록에 대한 진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간호사라면 하루의 대부분을 기록과 함께 보내죠.바쁘고 피곤해도 기록을 빼놓을 수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단순히 ‘무엇을 했다’는 메모가 아니라,환자의 상태를 증명하고 의료진을 보호하는 법적 문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간호기록, 왜 중요할까요?답은 간단합니다.불완전한 기록은 곧 ‘기준 미달 간호’의 증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의료소송에서 간호기록의 역할의료분쟁이 발생하면 환자보다 의료진이 입증 책임을 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간호기록입니다.특히 환자 권리가 강조되는 요즘은 환자 상태가 악화되면 바로 “소송”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곤 하죠.실제 경험: 경찰서 출석까지제가 직접 겪었던 일입니다.비..
안녕하세요, 할미쌤이에요 😊오늘은 병동 실무에서 정말 자주 접하는“검사 처방 시 간호기록”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해요.혈액검사(Lab), X-ray, CT, MRI까지!기본 흐름만 정리하고, 이후에 더 다양한 사례와 팁을 조금 더 풀어볼까 해요. 검사 처방 기록, 왜 중요한가요?검사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이뤄지지만,그 전후의 환자 상태 변화, 간호사의 설명, 교육, 반응 등은 간호사의 기록 영역이에요.✔ 어떤 이유로 검사를 하게 되었는지✔ 환자에게 어떤 설명이 이루어졌는지✔ 간호사가 어떤 준비나 중재를 했는지이 모든 흐름이 빠짐없이 담겨야 합니다. 기록 구성 핵심 포인트검사 목적→ 어떤 증상, 변화, 위험요인이 있었는지의사 지시 내용→ 검사 종류, 시기, 조영제 사용 여부 등환자 반응 및 교육 내용→ ..
🧳 간호사 퇴사...입사도 쉽지 않지만, 퇴사도 정말 쉽지 않아요.정말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죠. 😓간호사라는 직업의 특수성 때문일까요?사직서를 내면 부서장(수간호사)의 첫 반응은“일단 당장은 안 돼”이게 거의 공식처럼 되어 있어요.‘왜?’‘무슨 일 있어요?’‘많이 힘들었구나…’이런 말이 먼저 나오길 기대했던 마음은살짝 서운함으로 남게 되기도 하고요…❗ 이직률이 높다고 해서… 퇴사 결정이 쉬운 건 아니에요간호사는 이직률이 높은 직업이긴 하지만,그래서 퇴사를 가볍게 결정한다고 생각하면 오산이에요.퇴사하기까지,정말 많은 고민과 갈등을 겪고버텨보려 애쓰고 애쓰다가…결국엔 이렇게 생각하게 되는 거죠.“이러다 죽겠다…”“이 병원은 도저히 나랑 안 맞는다…”“미래가 보이지 않는다…”📩 얼마 전 있었던 일 하..
안녕하세요~ 할미쌤이에요 😊오늘은 많은 신규 간호사 선생님들이 어려워하는 의사 회진 후 간호기록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회진 후 기록이 막막한 순간 회진이 끝나면 머릿속이 복잡해집니다.“무슨 내용부터 적지?”“다 적어야 할까? 요약은 어디까지 해도 되나?”“환자 반응도 꼭 써야 하나?” 저도 처음에는 늘 헷갈렸던 부분이에요. 의사 회진 후 간호 기록 왜 중요할까요? 회진은 단순한 진료 시간이 아니라, 진단과 치료 방향이 바뀌는 중요한 순간입니다.이때 기록이 부실하거나 누락되면,지시 이행의 연속성이 끊어지고나중에 환자·보호자와의 소통 문제, 나아가 법적 분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요.회진 후 간호기록, 핵심은 딱 3가지! 지시 내용→ 변경된 처방, 검사, 치료 계획 등 핵심만 명확하게환자 및 보호..
“아! 맞다!! 아! 맞다!!”오늘도 바쁜 일상 속내 입에서 튀어나온 익숙한 비명이다. 먼 옛날,“아 맞다~” 하고 무언갈 떠올릴 때면기억해낸 내가 대견하고,어쩐지 귀엽기도 했다. 하지만 요즘은,“아맞다”라는 말이 그냥습관처럼 입에 붙어버렸다. 오늘은… 또 뭘 깜빡했을까?생각하면 가끔 징그러울 때도 있다. 혹시 나… 치매 아닐까?잠시 고민도 해보지만, “아! 맞다!” 하고 떠올릴 수 있다는 건—치매는 아니라는 증거래요.하하, 진짜 다행이다 😊 그리고,‘아맞다 상’이라는 별명을 지어준 내 남동생은…사실 나보다 더 자주 깜빡한다.진짜 초특급 아맞다 상은 그 쪽이다 🤭 “어이~ 아맞다 상!!”그 말 들을 때마다웃기고도 참 고맙다. 내 주변엔‘아맞다 상’이 참 많다.그래서 든든하다. 💭 할미쌤 한마디나..
병동 간호사의 일상 업무에서 가장 많이 작성하는 루틴 간호 기록.“특이사항 없음”만 반복하지 않고, 관찰·판단·중재가 살아있는 기록을 남기는 방법과 실제 예시를 정리했습니다. 루틴 기록, 왜 중요한가요?병동 간호사가 매일 반복적으로 작성하는 루틴 기록은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환자의 현재 상태와 간호 중재를 가장 잘 보여주는 법적·의료적 증거입니다.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이런 고민이 많습니다.- “특이사항 없음” 복붙만 반복- 변화 없는 환자라 뭘 써야 할지 막막- 기록이 점점 의미 없어지는 느낌 👉 하지만 기록이 없다는 건 간호가 없다는 뜻이 아닙니다.우리는 늘 환자를 관찰하고 있으며, 그 속에는 반드시 기록할 가치가 있습니다.루틴 기록을 잘 쓰는 3가지 원칙반복 표현 줄이기 – “안정적임”만 반복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