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이불 밖은 위험하지만, 이불 안도 만만치 않다

🛏️ 이불 밖은 아주 위험합니다.그래서 나는 퇴근하자마자 항상 이불속으로 먼저 대피합니다.세상이라는 격투장을 겨우 빠져나와,이불이라는 안전지대에서 숨을 고른 후,오늘도 살아남음에 감사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이불 안도 생각보다 만만치 않습니다.완전한 안전지대는 아닌 것 같아요.이불 안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머리는 쉴 틈 없이 오늘 일을 복기 중이고,심장은 놓칠 뻔했던 오더로 계속 요동칩니다. 분명 눈은 감겼는데,마음은 아직 격투장에 남아 정리하느라 바쁩니다.“아... 오늘 그 말은 좀 심했나...”“맞다, ○○환자 간호기록 쓰다 말았는데...”누워 있는데, 눕지 않은 상태.쉬고 있는데, 계속 일하고 있는 느낌입니다.이불속은 따뜻하지만,그 안에서 우린 또 다른 전쟁을 치르고 있는 건지도 모릅니다..

쉬어가는 이야기 2025. 7. 15. 08:00
병동에 사람이 부족한 건 간호사의 책임일까요

요즘 들어 자주 듣는 말이 있습니다.“또 신규 간호사 퇴사했대요.”“사람이 없어서 병동이 돌아가질 않아요.”그리고 끝엔 늘 이 말이 붙죠. “도대체 왜 이렇게 사람들이 안 버티는 거예요?”정말로 묻고 싶습니다.병동에 사람이 부족한 건 간호사 개인의 책임일까요? 병동 인력 부족, 왜 사람은 계속 나갈까요?요즘 병원에서는 상시 채용이 일상이 되었습니다.신규 간호사가 오고, 또 누군가는 나갑니다.하지만 문제는 그 공백이 메워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보호자 없는 병동이라는 이름 아래간호사가 본래의 간호 업무를 넘어 이동, 정리, 상담, 보호자 응대, 행정 업무까지사실상 병동 운영의 전 과정을 책임지는 구조입니다.그 속에서 간호조무사 선생님들과 병동 지원팀 또한끊임없이 움직이며 빈틈을 메우고 계십니다.하지만 이분들..

병원 현실 이야기 2025. 7. 14. 09:00
탈수 증상, 여름철에 더 위험한 이유

여름철 갈증이 계속된다면 단순한 더위 탓이 아닐 수 있습니다.탈수는 가볍게 넘기기 쉬운 증상부터 시작되지만, 방치하면 위급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간과하기 쉬운 초기 탈수 증상부터 건강을 지키는 대처법까지 정리해 드립니다.탈수, 왜 여름철에 더 위험할까요?탈수란 몸속 수분이 부족해져 체내 균형이 깨지는 상태입니다.여름철에는 땀을 통해 수분이 빠르게 손실되기 때문에 그 위험이 더욱 커지죠.특히 에어컨이 켜져 있어도계속해서 움직이거나 마스크를 오래 착용하는 환경에서는자신도 모르게 체내 수분이 급격히 줄어들 수 있습니다.탈수 증상은 무더위 속 실내외 활동이 많은 분들이라면 누구나 겪을 수 있습니다.특히 병동처럼 움직임이 많은 환경에선 더 주의가 필요하죠.초기 탈수 증상, 이렇게 나타납니다탈수 증상은 아주..

건강 상식 2025. 7. 12. 09:00
땀띠 치료법, 간단하지만 효과있게!

여름철, 냉방이 돼도 계속 움직이는 병동 근무 중에 가장 자주 듣는 말이 바로 "땀띠 났어요…"입니다.아이들만 생기는 줄 알았던 땀띠,사실은 성인도 꽤 자주 겪는 피부 트러블입니다.특히 땀이 많은 의료인, 요양보호사, 병동 보조 인력,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하는 직업군에서 흔히 볼 수 있죠.오늘은 할미쌤이 병원에서도 자주 쓰는실제 땀띠 치료 및 관리법을 알려드릴게요. 땀띠란 무엇인가요?땀띠는 의학적으로 ‘한진(汗疹)’이라고 부르며,땀구멍이 막히거나 땀이 피부 속에 고여 염증 반응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주로 목, 겨드랑이, 가슴 밑, 마스크 착용 부위, 허벅지 안쪽 등피부 접촉이 많고 통풍이 안 되는 부위에 잘 생깁니다.작게는 모기 물린 듯한 붉은 반점에서부터,심하면 물집이나 고름, 진물까지 동반되기도 합..

건강 상식 2025. 7. 11. 09:00
🌬️ 여름철 불청객, 냉방병! 시원~한 극복법

푹푹 찌는 한여름 더위에 에어컨 없이는 단 하루도 버티기 힘든 요즘입니다. 병원도 예외는 아니죠. 병실은 환자분들 체온에 맞춰 시원~하게, 원무과는 민원인 맞이에 쾌적~하게, 간호 스테이션은 정신없는 업무에 짜증 나지 않게 빵빵~하게 에어컨을 틀곤 합니다. 시원함에 감탄하지만, 문득 어깨가 뻐근하고 으슬으슬한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아, 나도 냉방병인가?' 싶은 거죠. 많은 분들이 '냉방병은 그냥 가볍게 앓고 지나가는 감기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생각보다 우리 몸을 지치게 하고 여름철 컨디션을 엉망으로 만들 수 있는 불청객입니다. 특히 에어컨 바람을 직접 맞거나, 냉난방기 온도 조절이 어려운 병원 실무자들에게는 더욱 피할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 여름철 불청객 냉방병의 정체부터 ..

건강 상식 2025. 7. 10. 09:00
☀️ 한여름 비상! 일사병 vs 열사병 차이점 및 대처방법

안녕하세요, 할미쌤입니다. 연일 푹푹 찌는 더위에 다들 안녕하신가요? 뉴스를 보면 '온열 질환 주의'라는 말이 심심찮게 들려오고, 병원 현장에서도 온열 질환으로 힘들어하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일사병과 열사병의 핵심 차이점과 응급 대처 및 예방 방법을 간결하고 팩트 있게 정리해 드리고자 합니다. 딱! 이만큼만 기억해도 한여름 불청객, 온열 질환으로부터 우리 자신과 소중한 사람들을 지킬 수 있을 겁니다. 여름철 건강 지킴이, 할미쌤이 여러분 곁에 함께 하겠습니다. 일사병 vs 열사병: 이 2가지만 기억하세요!겉보기엔 비슷하지만, 일사병과 열사병은 몸에 미치는 영향과 위급성이 확연히 다릅니다. 이 핵심 차이점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몸의 '체온 조절 기능' : 아직 괜찮아 v..

건강 상식 2025. 7. 9. 09:00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9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